으로 끝나는 세 글자의 단어: 27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297개 🍩세 글자: 278개 네 글자:345개 다섯 글자:91개 여섯 글자 이상:95개 모든 글자:1,107개

  • 몰자 : (1)자연 속으로 깊이 파고들거나 빠짐.
  • 내후 : (1)‘내후년’의 방언
  • 철궤 : (1)삼년상을 마친 뒤에 신주를 사당에 모시고 궤연을 거두어 치움.
  • 왕방 : (1)조선 전기의 문신ㆍ시인(?~?). 단종이 강원도 영월로 유배될 때에 호송하였는데 그때의 심정을 읊은 시조 한 수가 전한다.
  • 탄산 : (1)이가(二價) 납의 탄산염. 납염의 차가운 수용액에 탄산 암모늄이나 탄산수소 나트륨을 가하여 가라앉혀서 얻는 무색 결정이다. 천연으로는 백연석으로 산출된다. 독성이 있다. 화학식은 PbCO3.
  • 결각 : (1)결각으로 된 잎의 가장자리.
  • 치자 : (1)장미과에 속한 양지꽃의 생약명. 전초를 약용하며 중기를 보익하고 음허를 보하는 효능이 있어 혈액 순환 불량에 따른 만성 영양 장애를 치료하는 데 쓴다.
  • 안상 : (1)소란(小欄)으로 구획이 나누어진 부분.
  • 익일 : (1)중국의 사신을 맞은 이튿날에 나라에서 사신에게 베풀던 연회(宴會).
  • 석별 : (1)서로 헤어지는 것을 아쉬워하여 베푸는 연회.
  • 금사 : (1)칼샛과의 새. 제비와 비슷하며, 산란기에 침샘에서 끈적끈적한 액체를 분비하여 동굴의 바위틈에 보금자리를 만든다. 이 제비 집을 ‘연와’라고 하며 고급 중화요리에 쓴다.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 낙성 : (1)낙성을 축하하는 잔치.
  • 주개 : (1)‘가오리연’의 방언
  • 최전 : (1)적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전방의 맨 앞 진지.
  • 내진 : (1)조선 시대에, 내빈(內賓)을 모아서 베풀던 궁중 잔치.
  • 선자 : (1)추녀 옆에서 중도리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여 부챗살 모양으로 배치한 서까래.
  • 동작 : (1)동작와로 만든 벼루.
  • 양백 : (1)고려 시대의 무신(?~1379). 공민왕 12년(1363)에 흥왕사(興王寺)의 변(變)에 공을 세워 일등 공신이 되었다. 우왕 5년(1379)에 진주에서 왜구를 격퇴하였다.
  • 여송 : (1)필리핀의 루손섬에서 나는 엽궐련. 향기가 좋으며 독하다. (2)담뱃잎을 썰지 아니하고 통째로 돌돌 말아서 만든 담배.
  • 사방 : (1)‘방패연’의 방언
  • 지권 : (1)‘지궐련’의 원말.
  • 단계 : (1)단계석으로 만든 벼루.
  • 명공 : (1)아주 훌륭한 공연.
  • 갈색 : (1)입자가 적은 갈색의 연기.
  • 고별 : (1)같이 있던 사람들과 헤어지면서 작별을 알리며 베푸는 잔치.
  • 나수 : (1)개화기의 언론인(1861~1926). 호는 소봉(小蓬). 1898년에 남궁억 등과 ≪황성신문≫을 발행하여, 민중 계몽과 민족정신 고취에 이바지하였다.
  • 안와 : (1)피라미드 모양의 눈구멍 바닥의 가장자리 경계가 되는 눈구멍 어귀의 가장자리. 이마뼈, 위턱뼈 및 광대뼈가 눈구멍 어귀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 하수 : (1)장수(長壽)를 축하하는 잔치. 보통 환갑잔치를 이른다.
  • 구순 : (1)아흔 살이 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베푸는 잔치.
  • 부주 : (1)일정한 판단이 어떤 개념의 외연의 일부에만 주장되거나 관계함. 형식 논리학에서 어떤 판단이 그 주어 또는 술어 개념의 외연 전체에 걸쳐 주장되고 있지 않은 경우, 그 개념의 상태를 이른다. 이를테면, ‘모든 인간은 동물이다.’라고 말할 때, ‘인간’이라는 개념은 주연(周延)으로 작용하나, ‘동물’이라는 개념은 부주연(不周延)이다.
  • 증상 : (1)삼연(三緣)의 하나. 중생이 평생 동안 염불을 하면, 부처가 그들이 지은 죄를 모두 없애 주고 그들이 죽을 때 보살들과 함께 와서 맞아 가는 일을 이른다. (2)다른 법을 일으키는 데 힘이 되는 연(緣). 직접 힘을 주는 여력(與力) 증상연과 방해가 되지 않는 부장(不障) 증상연의 두 가지가 있다.
  • 재생 : (1)중국 청(淸)나라 때, 진단생(陳端生)이 쓴 탄사 작품. 원작은 20권 40회이다. 그중 진단생이 17권까지 쓰고, 후반부 세 권은 양덕승(梁德繩)이 썼다고 전한다.
  • 윤탁 : (1)조선 시대의 문신(1538~1594). 자는 상중(尙中). 호는 중호(重湖). 형조 판서와 호조 판서를 지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함경도 순찰사가 되어 의병을 모집하고 왜군에 대한 방어 계획을 세우던 중 객사하였다. 저서에 ≪계사일록(癸巳日錄)≫이 있다.
  • 김동 : (1)조선 후기의 문신(1724∼?). 자는 백우(伯雨). 영조 때에 시파(時派)의 편에서 벽파(辟派)를 탄핵하는 데 앞장섰다.
  • 김약 : (1)독립운동가ㆍ교육자(1868~1942). 호는 규암(圭巖). 광무 3년(1899)에 간도의 명동(明東)에 한인(韓人) 부락을 설정하고 규암재를 세워 교육 사업에 헌신하였다. 융희 2년(1908)에 명동 서숙(明東書塾)을 설립ㆍ운영하였다.
  • 허가 : (1)헛집을 짓기 위하여 이어 대는 서까래.
  • 이수 : (1)조선 영조 때의 학자(1693~1748). 자는 희안(希顔). 호는 청벽(靑壁). 퇴계의 학문을 정리하여 ≪퇴계선생문집≫을 편찬하였다. 저서에 ≪도산급문제현록(陶山及門諸賢錄)≫, ≪도산지(陶山誌)≫가 있다.
  • 대가 : (1)‘대가연하다’의 어근.
  • 벽송 : (1)조선 시대에, 3년마다 한 번씩 임금이 성균관에 베풀어 주던 잔치.
  • 모끼 : (1)박공지붕, 합각지붕에서 박공에 직각으로 거는 짧은 서까래.
  • 도문 : (1)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집에 돌아와서 베풀던 잔치.
  • 태평 : (1)전쟁에서 이긴 뒤에 베푸는 잔치.
  • 세서 : (1)농가에서 농사일, 특히 논매기의 만물을 끝낸 음력 7월쯤에 날을 받아 하루를 즐겨 노는 일.
  • 하복 : (1)발해의 벼슬아치(?~?). 정당성 좌윤(政堂省左允)으로, 841년 일본에 대사로 파견되어 일본으로부터 정삼위(正三位)를 받았다.
  • 광 지 : (1)주어진 진행 방향과 결합된 두 개의 서로 직각으로 편광된 평면 파동 사이의 단계에서 복굴절 물질을 통과한 후 발생하는 변화. 주로 나노미터(nm)로 측정된다.
  • 열 절 : (1)절연체를 이용하여 열이 통하지 못하게 하는 일.
  • 군 절 : (1)전기 회로의 그룹이 상호 간에 전기적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그룹을 분리하는 일.
  • 전두 : (1)이마뼈와 접하는 머리뼈의 모서리를 이르는 말. 마루뼈와 나비뼈 큰 날개에 있다.
  • 지경 : (1)고려 시대에 둔, 경연청의 벼슬. 공양왕 2년(1390)에 두었다. (2)조선 시대에 둔, 경연청의 정이품 벼슬.
  • 정인 : (1)육근(六根)을 인(因)으로 하고 육진(六塵)을 연(緣)으로 하여 모든 법(法)을 만드는 이치.
  • 랩 절 : (1)동심층에서 절연 테이프를 나선형으로 감는 것.
  • 상자 : (1)날개 사이에 비행 방향과 평행한 수직 평면을 가진 초기 복엽기의 한 형태. 마치 상자 모양의 연과 같은 모양을 가진 데에서 붙은 이름이다.
  • 강석 : (1)연극배우ㆍ가수(1914~2001). 서울 출생이다. 영화 <세 동무>의 주제가를 불러 데뷔하였으며, 대표곡으로 <방랑가>(1931), <오동나무>(1931) 따위가 있다.
  • 미필 : (1)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님.
  • 관골 : (1)광대뼈와 관절을 이루는 나비뼈 큰 날개의 가장자리.
  • 절단 : (1)금속을 산소ㆍ아세틸렌 가스로 자른 단면의 위쪽 가장자리.
  • 용린 : (1)용의 비늘을 새겨 만든 벼루.
  • 배반 : (1)무관이 처음으로 임금으로부터 선전관 벼슬을 받았을 때 선배들을 위하여 베푸는 잔치.
  • 전절 : (1)완전한 절연. 절연물을 사용하여 도체를 절연할 때 사용하는 절연물에 직류 전압을 가하면 일반적으로 아주 적은 양의 전류가 흐르는데, 이러한 미세 전류도 흐르지 않도록 하는 절연을 이른다.
  • 판압 : (1)압연하여 강판을 만드는 일.
  • 꼬빡 : (1)가오리 모양으로 만들어 꼬리를 길게 단 연. 띄우면 오르면서 머리가 아래위로 흔들린다.
  • 금옥 : (1)중국 청나라 때의 장편 통속 소설. 전체 120회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반부 80회는 조설근(曹雪芹)이, 후반부 40회는 고악(高鶚)이 지었다. 영국부(榮國府)의 귀공자 가보옥(賈寶玉)을 주인공으로 하여 임대옥(林黛玉), 설보채(薛寶釵)와 같은 미녀 12명을 배치한 후 인물 사이의 애정과 비련, 그리고 가문의 영화와 몰락을 그린 작품이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주얼 : (1)중국 한나라 때, 정위에 속하여 죄인에 대한 형사 소송 판결을 돕던 벼슬. ≪한서≫의 <아관전(兒寬傳)>에 관련 내용이 나온다.
  • 홍회 : (1)‘가오리연’의 방언
  • 설화 : (1)수선화과의 알뿌리 식물. 알뿌리에 2~3개의 줄 모양의 잎이 붙으며, 이른 봄에 20~30cm의 흰 꽃이 꽃대 끝에 하나 핀다. 추위에 잘 견디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유렵이 원산지이다.
  • 방파 : (1)‘방패연’의 방언
  • 굳은 : (1)‘경연’의 북한어.
  • 전승 : (1)전쟁에서 이긴 것을 축하하는 잔치.
  • 아편 : (1)아편을 넣어 만든 담배. (2)아편을 피울 때 나는 연기.
  • 마제 : (1)물 담는 곳을 말굽 모양으로 판 벼루. (2)안쪽 끝을 말굽 모양으로 만들어 양쪽으로 붙이는 서까래.
  • 삼지 : (1)함경북도 무산군 삼장면에 있는 네 개의 큰 호수. 백두산 주변에서 가장 경치가 뛰어난 곳으로 높이가 1,395미터나 되는 고원 지대에 있다. 호수 연안에는 현무암이 노출되어 절경을 이룬다. 가장 큰 호수는 둘레가 2km에 달한다.
  • 발사 : (1)총포를 쏘았을 때 나는 연기.
  • 회방 : (1)과거에 급제한 지 예순 돌이 됨을 기념하던 잔치.
  • 세초 : (1)조선 시대에, 실록의 찬수(撰修)를 마치고 원고를 정돈할 때 열던 잔치.
  • 재흡 : (1)담배를 다시 피움.
  • 초자 : (1)자연을 초월하여서 자연의 이치로 설명할 수 없는 신비적 존재.
  • 소이 : (1)그리된 까닭.
  • 치은 : (1)치아 쪽에서 가장 가까운 치은의 둘레 부분.
  • 맹호 : (1)중국 당나라의 시인(689~740).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루먼산(鹿門山)에 숨어 시를 즐겼으며, 특히 오언시에 뛰어났다. 작품에 시집 ≪맹호연집≫이 있다.
  • 전단 : (1)강재(鋼材)의 묶음이 가스 따위에 의해 절단된 모서리.
  • 명조 : (1)연기를 잘하여 이름난 조연.
  • 문희 : (1)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가까운 친구와 친척을 불러 베풀던 잔치.
  • 부자 : (1)‘부자연하다’의 어근.
  • 쌉쌀 : (1)‘지네발연’의 방언
  • 첨하 : (1)오량(五梁) 이상으로 지은 집의 맨 끝에 걸리는 서까래.
  • 황화 : (1)납과 황을 직접 반응하여 얻는 납의 황화물. 천연으로는 방연석으로 산출되며, 광전지ㆍ적외선 검출기를 만드는 데에 쓰인다. 화학식은 PbS.
  • 뒷우 : (1)‘뒤꼍’의 방언
  • 조지 : (1)원자로 반응도의 대체적인 조정 또는 중성자속 분포 변화를 통해 반응을 지연시키는 일.
  • 관등 : (1)관등(觀燈)할 때 베푸는 잔치.
  • 징니 : (1)벼루의 하나. 물에 넣고 휘저어 잡물을 없앤 고운 흙으로 구워서 만든다.
  • 산학 : (1)산업계와 학계와 연구 분야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문에 : (1)‘가오리연’의 방언
  • 거상 : (1)망막의 신경층에서 시각 부분과 비시각 부분 사이의 톱니 모양으로 된 가장자리.
  • 류두 : (1)‘유두연’의 북한어.
  • 유혁 : (1)조선 숙종 때의 무관(1616~1680). 자는 회이(晦爾). 호는 야당(野堂). 병자호란 때 아버지가 전사하자 형제가 함께 출전하였다. 무과에 급제하여 병조 판서를 지냈으며 경신출척 때 사약을 받았다.
  • 꽁지 : (1)‘꼬빡연’의 방언
  • 조압 : (1)소재의 굵기를 점차로 줄이면서 완제품의 모양과 치수에 가깝게 만드는 압연. 압연의 중간 공정이다.
  • 토제 : (1)흙으로 빚어서 구워 만든 벼루.
  • 장지 : (1)조선 고종 때의 언론인(1864~1921). 자는 화명(和明)ㆍ순소(舜韶). 호는 위암(韋庵)ㆍ숭양산인(嵩陽山人). ≪황성신문≫ 사장을 지냈으며,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시일야방성대곡>이라는 사설(社說)을 써서 일본을 통박하였으며, 만민 공동회ㆍ대한 자강회와 같은 조직을 만들어 활동하였다. 저서에 ≪유교연원(儒敎淵源)≫, ≪대한강역고≫ 따위가 있다.
  • 열반 : (1)고려 시대에, 과거에 합격한 사람의 집에 몰려오는 하객(賀客)에게 베풀던 잔치. 더운밥을 대접하는 것이 고작이었던 데서 유래한 말이다.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연으로 시작하는 단어 (4,720개) : 연, 연가, 연가곡, 연가마, 연가새, 연가세, 연가슴 심장 마사지, 연가싀, 연가시, 연가시강, 연가식, 연가 칠년명 금동 여래 입상, 연각, 연각계, 연각란, 연각승, 연각장, 연각정성, 연각탑, 연각풍, 연간, 연간 감가상각비, 연간 감가상각액, 연간 강수량, 연간 개량량, 연간 공기 조화, 연간 공제액, 연간 공조, 연간 관리 비율, 연간 교통량 변동 ...
연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4,720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연으로 끝나는 세 글자 단어는 27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